2025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과 조건, 지역화폐 30만원 환급
2025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과 조건 정리
지역화폐 30만원 환급 받기
2025년 9월 15일부터 정부가 시행하는 상생페이백 제도가 시작됩니다. 이 제도를 통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만 사용해도 최대 30만 원 상당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생페이백의 신청 방법, 환급 조건, 사용처, 신청 대상 등 핵심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상생페이백이란?
상생페이백은 전년도보다 카드 사용액이 늘어난 소비자에게 그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정책입니다. 전통시장과 중소상공인 매장에서의 소비를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상생페이백 신청 기간 및 환급 내용
- 신청 기간: 2025년 9월 15일 ~ 11월 30일
- 대상 기간: 2025년 9월 ~ 11월 카드 사용액
- 환급 금액: 소비 증가분의 20%, 월 최대 10만 원
- 최대 혜택: 총 30만 원 (3개월간)
- 지급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상생페이백 신청 대상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만 19세 이상 내국인 또는 외국인
- 2024년 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개인
- 개인 명의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사용자
법인카드, 간편결제(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현금 거래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
- 상생페이백 공식 홈페이지 방문: https://상생페이백.kr
- 본인 인증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 2024년 카드 사용 실적 자동 확인
- 신청 완료 후 9~11월 카드 사용액 자동 추적
신청은 한 번만 하면 되며, 매월 자동 적용됩니다.
상생페이백 환급금 조회 방법
공식 홈페이지 내 예상 환급액 계산기를 통해 2025년 소비 예상치로 환급 예상 금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용되는 카드 및 결제 조건
- 모든 국내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개인 명의)
- 법인카드, 간편결제, 현금 결제는 제외
- 키오스크, 배달앱, 테이블오더 등은 미인정 가능성 있음
- 실적 인정을 위해선 현장 단말기를 통한 결제 필수
실적 인정 사용처와 제외처
실적 인정되는 사용처
- 전통시장
- 중소상공인 매장
- 동네 슈퍼마켓, 일부 편의점
환급 제외되는 사용처
- 대형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 백화점
- 프랜차이즈 직영점 (스타벅스 등)
- 배달앱 및 온라인 쇼핑몰
5부제 신청 일정
초기 혼잡을 피하기 위해 9월 15일부터 19일까지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5부제로 운영됩니다.
날짜 | 출생연도 끝자리 |
---|---|
9월 15일 | 5, 0 |
9월 16일 | 6, 1 |
9월 17일 | 7, 2 |
9월 18일 | 8, 3 |
9월 19일 | 9, 4 |
9월 20일 이후 | 모든 신청자 가능 |
상생페이백과 지역화폐의 차이
항목 | 상생페이백 | 지역화폐 |
---|---|---|
지급 방식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 지역 전용 선불카드 또는 앱 |
사용처 |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 지자체 내 지역화폐 가맹점 |
조건 | 전년도 대비 소비 증가 | 사전 충전 후 사용 |
주의사항 및 유의점
- 사칭 문자, 보이스피싱에 주의하세요.
- 사전 접수, 수수료 요구는 모두 사기입니다.
- 실적 기준은 카드 승인일이 아닌 실제 사용일입니다.
마무리 요약
상생페이백은 2025년 하반기 동안 월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소비자 혜택 제도입니다.
신청은 한 번이면 충분하며, 이후 자동으로 혜택이 적용됩니다.
지금 상생페이백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하고, 똑똑한 소비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댓글
댓글 쓰기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