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귀농귀촌 청년창업경진대회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 안내
2025년 귀농귀촌 청년창업경진대회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 안내
농촌에서의 삶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사업모델을 실현할 기회가 주어집니다. 바로 귀농귀촌 청년창업경진대회와 정부 창업지원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에는 더욱 다양한 아이디어와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와 농림축산식품부, 관련 기관이 청년농 창업을 적극 지원경진대회 정보, 신청 조건, 시상 내용, 연계 창업지원제도를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1. 귀농귀촌 청년창업경진대회 개요
- 주최: 농림축산식품부, 농정원, 지자체
- 대상: 만 18세 이상 ~ 39세 이하의 예비 귀농·귀촌 청년
- 목적: 농촌에서 실현 가능한 창의적 사업 모델 발굴 및 시상
- 참가비: 무료
2. 신청 자격
- 농촌 창업 아이템 또는 농업 6차 산업(가공·체험·유통 등) 관련 계획 보유자
- 실제 귀농(이주) 예정자 또는 5년 이내 귀농한 청년
- 개인 또는 3인 이내 팀 참가 가능
3. 주요 일정 (2025년 기준)
- 접수 기간: 2025년 9월 예정 (농정원 공고 예정)
- 서류 심사: 아이템의 현실성 및 지속가능성 평가
- 본선 PT: 발표 심사 및 멘토링
- 최종 시상식: 2025년 11월 (세종시 또는 비대면 개최)
4. 시상 내용 및 혜택
- 🏆 대상 (1팀): 상금 1,000만 원 + 창업 컨설팅 지원
- 🥈 최우수상 (2팀): 상금 각 700만 원
- 🥉 우수상 (다수): 상금 300~500만 원
- 💼 수상자 특전: 농업창업자금 우선 추천, 홍보 지원, 입주공간 연계
5. 연계 가능한 창업지원 프로그램
① 청년후계농 영농정착지원사업
- 지원금: 월 100만 원 (최대 3년)
- 대상: 창업 후 1년 이내 청년농
- 조건: 농업경영체 등록, 교육 이수 필수
② 농업창업 및 주택자금 융자
- 내용: 창업자금 최대 3억 원, 주택자금 7,500만 원 저리 융자
- 조건: 사업계획서 심사 및 이수 교육
③ 농촌 신활력플러스 사업 (지자체 공모)
- 대상: 지역기반 창업자 (식품가공, 관광, 체험 등)
- 내용: 창업 공간, 장비, 마케팅 비용 일부 지원
6. 신청 방법
- 농림축산식품부 또는 농정원 귀농귀촌종합센터 공고 확인
-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온라인 제출
- 서류 심사 → 본선 진출 시 PT 준비
- 최종 수상자 선발 → 연계 지원 프로그램 참여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창업 경험이 없어도 참가 가능한가요?
A. 네. 예비 창업자도 참가 가능합니다. 아이디어와 실행계획이 핵심 평가 요소입니다.
Q. 수상하지 못해도 다른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대회 참가만으로도 창업 멘토링 및 후속사업 연계가 가능합니다.
Q. 사업계획서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A. 농정원, 귀농귀촌종합센터 등에서 무료 컨설팅 및 양식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마무리
2025년은 농촌 창업의 새로운 기회가 열리는 해입니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 귀농인이라면, 경진대회와 정부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
※ 본 글은 2025년 8월 기준 농림축산식품부 및 귀농귀촌종합센터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대회 일정과 지원 조건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공식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